불교와 생활/선방한담 혜송(慧松) 2015. 1. 9. 15:25
[보왕삼매론 - 주어진 현실에서 마음을 다스리는 법] [보왕삼매론] 아침에 학교로 향하는 기차를 타고 오며 창밖의 풍경을 바라보다가 문득 떠오른 경이다. 갑자기 너무 사무치게 이 구절이 보고 싶어, 학교에 오면 찾아봐야지 했었는데, 잠시 바쁘다는 경계로 잊고 있었다. 짧지 않은 생을 살아오면서, 언제나 그때그때가 어렵다고 생각하지 않았을 적이 있었겠냐만, 항상 지나가면 추억의 일부로 남는 것은 아프고 힘들어도 또 지나가면 아련한 기억으로 간직되기에 그럴 것이라고 본다. 인생이란 여정을 살아가면서 우린 많은 바램을 안고 살아갈 것이다. 아프지 않기를, 조금은 풍족하기를, 내일은 조금더 평화롭기를, 내가 하는 일이 조금은 쉽게 풀려나가기를.. 등등 많은 소원들을 가슴에 품고 현실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불교와 생활/선방한담 혜송(慧松) 2013. 3. 15. 09:47
[새벽에 듣는 기도가 있다. 천수경, 반야심경, 관세음보살 염송, 이산 혜연선사 발원문] 졸린 눈을 부비며 일어나는 아침에 항상 잠깐 듣는 기도문이 있다. "이산 혜연선사 발원문" 어렸을적 잠시 산속 깊은 절에서 몇달간 머문적이 있었는데 새벽에 예불을 하시던 스님이 마지막 무렵에 같이 독경하시는 것을 주섬주섬 따라하다 보니, 내용이 너무 좋아서 지금도 될수 있으면 아침마다 듣고 있다. 내가 직접 독경을 하기엔... 할수는 있지만,,, 그 중 특히 내 마음을 이끄는 구절이 있다. "내 모양을 보는 이나 내 이름을 듣는 이는..(중략).. 온갖 고통 벗어나서 좋은 복락 누려지다." 이 부분이 너무 마음에 들어서 아직도 듣고 있다. 내 모습을 보거나 내 이름을 듣는 것 만으도 온갖 고통을 벗어나게 해주지는 못..
살아가는 이야기/끄적끄적 혜송(慧松) 2013. 1. 21. 21:37
감사와 다짐의 기도로 아침을 맞이한 것이 벌써 언제적 일인지도 모르겠다. 감사한 일이 없어서 일까? 굳건한 다짐을 요구하는 일이 없어서 일까? 돌이켜보면, 타성이 젖어 습관처럼 일어나서 시간이 쫒기고, 지친 몸을 이끌고 들어와 피곤하다는 이유만으로 하루의 반성없이 잠자리에 들어버리고... 그런 시간들이 쌓이고 쌓여서, 스스로 가지고 있건 영적인 생활마져 버리고 말았는지도 모르겠다. 묵묵히 하는 기도를 통해서 내 내면에 있는 진실한 나와 만나고, 묵묵히 하는 기도를 통해서 새로운 생각과 각오의 씨앗을 품고 키우며,묵묵히 하는 기도를 통해서 좀더 성숙한 모습으로 사람들과의 관계를 돈독히하며,묵묵히 하는 기도를 통해서 내가 좀 더 나이기를 바라며 살았던 날들이 있었는데.. 오늘 문득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은, ..
살아가는 이야기/끄적끄적 혜송(慧松) 2012. 9. 25. 15:19
[다음 웹툰의 한장면.. 살아가는 소소한 이야기가 실린 만화였다. 그림 그리는 사람들이 부럽다] 우연히 보게된 웹툰에서 좋은 내용이 보여서 덜컥 집어왔다. [다음웹툰: 결혼해도 똑같네 25화] 삶을 살아가면서 다스리기 어려운 일들중 하나가 화나는 상황에 처했을 때 일 것이다. 그 순간만 잘 넘어가면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를 성질을 냄으로 해서 상황은 더욱 어려워지는 쪽으로 넘어간다. 한순간만 참았으면 보다 나은 상황이 벌어질 텐데,,, 물론 화를 낸 사람도 잠시 후면 그 일에 관해 후회를 하는 것이 인지상정.. [여기가 진정 마음에 드는 장면이다. 물론, 이 경지까지 가기위해서도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시중에 화를 다스리는 법에 대한 이런 저런 책들이 제법 많이 나와있다. 좋은..
살아가는 이야기/끄적끄적 혜송(慧松) 2012. 9. 21. 07:42
[내가 어렸을적 날 이끌어 주셨던, 지도법사스님. 이분을 페북에서 다시 뵈었다.] 내가 아주 어렸을적, 난 어머니의 손을 잡고 절에 다니기 시작했다. 그렇게, 국민학교때까지는 어머니와 같이 절에 다니다 중학교에 올라가면서 학생회라는 곳에 적을 두게 되었었다. 삼선포교원 만다라 학생회 어쩌면, 어머니를 떠나 진정으로 시작된 나의 종교활동은 이때부터였을 것 같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같이 있었기에, 중1이였던 난 참 어린 막내였고, 철도 없이 천방지축이였던 난 스님께도 장난을 많이 쳤었던 기억이 있다. 여름 수련회에 가면, 스님과 산에 오르다 스님을 물 속에 빠트리기도 했고, 바루공양을 할때 남기면 안된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다같이 마시는 천수물에 소금을 좀 (많이) 타서 돌리기도 했고. 물론, 어김없이 장..
불교와 생활/선방한담 혜송(慧松) 2012. 9. 10. 11:09
[미소가 번지는 세상이면 좋게다] 나도 어느덧 나이가 들었구나 라고.. 새삼스레 느꼈던 어느날, 문득 나이 40이면 자신의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구절이 머리속을 맴돌았다. 세상에 살아가면서 참 많은 사람들과 만나고 헤어지고, 때로는 그들중에 몇몇과 인연을 지속적으로 맺어서 오고 했는데, 사람의 좋고 싫음, 어디서 올까 라는 생각도 들고, 身言書判(신언서판)이라는 사람의 판단 기준도 있고, 지난 번 포스팅처럼 공자님의 말씀도 있고.. 그래서, 혼자 생각한 것이 "미소짓는 얼굴을 만들자" 는 것이였다. 항상 미소를 지을수 있다면, 보다 만나는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줄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그것이 가족이건, 친구건, 그냥 스치는 사람이건 간에 말이다. [화두(話頭) - 의심의 덩어리로 마음을 찾는..
불교와 생활/선방한담 혜송(慧松) 2012. 9. 4. 09:20
갈등이란, 인간사이에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다. 지위고하, 남녀노소를 분간하지 않고 말이다. 어디선가 읽었던 책의 한 구절에 이런 말이 있었다. 내가 옳다고 남의 바꾸려고 하는데, 반대로 내 스스로도 쉽게 바뀌어 지던가? 나도 나를 바꾸지 못하는데, 어떻게 내가 남을 바꾸겠다고 나서며, 남이 쉽게 바뀌기를 바라는가. 그곳에서 갈등과 분열이 발생한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 속에서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면 된다. 오늘 법륜스님의 한마디에 난 자신을 되돌아 볼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내가, 혹은 나만이 옳다는 생각으로, 아집에 가득찬 눈빛으로 세상을 보고 판단하고 가르치려 하지 않았는지 말이다. 군자는 하루에 3번 자신을 돌아본다고 했는데, 조심 또 조심하면서 내 고집이 일어나지 않았는지 ..
불교와 생활/선방한담 혜송(慧松) 2012. 8. 13. 14:44
법륜스님의 [희망편지]가 다음의 "마이피플"에서 배달이 되기 시작했다. 될수 있는 대로 이곳으로 복사해와서 올려볼 예정이다. (불법복사가 되는 것인가??) 아무쪼록 내 메마른 감성에 삶의 지혜를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덧) 다음의 마이피플에서 스님의 메세지를 직접 볼수 있는 페이지는 여기를 누르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