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는 이야기/사회참여 혜송(慧松) 2011. 8. 23. 09:49
[원문보기 : 오마이뉴스 / 독일교수의 눈물 "MB, 정말 유명해질 거다] 글을 읽으니 국제적 하천 전문가인 독일의 한 교수가 한국에 방문을 했다고 한다. 8월 18일에 개최 되었다는 4대강 국제 심포지엄을 앞두고 말이다. 정말 많은 글과 자료와 논평들이 봇물터지듯 쏟아져 나왔지만, 귀로 들으려도, 눈으로 읽으려도 하지도 않는 복지부동의 전형을 보고 있다. 마음이 없으면, 봐도 보이지않고, 들어도 들이지 않는다는 구절이 있듯이 지금의 정부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탁월한 재주가 있나보다. 글의 말미에 보면, 독일교수가 독일에서 수업을 할때 사용할 자료로 사진을 찍어갔다고 했다. 그래서 제목이 "MB, 정말 유명해질 꺼다"이다. 유취만년이란 말과 댓구를 이루는 말이 문득 떠올랐다. 악..
살아가는 이야기/사회참여 혜송(慧松) 2011. 8. 15. 13:16
오늘 드디어 처음 접근할 논문의 주제를 잡았다. "Sensorless Direct Torque Control for Doubly-fed Reluctance Machines"관한 논문을 쓰기로 결정.. 생각보다 할 일이 많다고 느껴지기도 하지만, 해야할 것이 많을 수록 투지는 불타오르니 해볼만 할 것이다. 지도교수하고 상의도 간단히 했는데, 일단은 좋다고 한다. 이 분야에서 먼저 시뮬레이션 수준 정도의 논문을 하나 제출하면서, 학위 청구 논문까지 노려봐야 할 것 같다. 인터넷으로 라이브러리에 잠시 들렸더니 텍스트가 한권 나온다. 개념을 잡기에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얼른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려야 겠다. 하여간, 일단 포괄적으로라도 논문의 길을 잡으니 기분이 좋아진다. 어쩌면, 내 방황의 한 가닥은..
살아가는 이야기/사회참여 혜송(慧松) 2011. 5. 31. 13:02
원문보기 : 아빠는 4대강에 묻혔다. (한겨례) 점심을 먹고 들어와 잠시 인터넷을 기웃거리다가 우연히 기사를 읽었다. 기사라기보단 상황을 주욱 나열한 글에 가까웠다. 하지만, 잠시도 눈을 뗄수가 없었다. 무엇인가 뭉클함에 눈시울이 붉어지고 말았다. 요즘들어 정권을 잡은 측에서는 발악(?)을 하는 것 같다. 5년 단임제임에도 불구하고, 하는 행동을 지켜보면 평생 군림하는 왕같은 모양새가 난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많은 이론들을 제시하면서, 그렇게 많은 유물이 나오면서, 그렇게 많은 생태계가 훼손되면서, 결국 이제는 그렇게 많은 목숨들이 사라져가고 있다. 손으로 하늘을 가리고 있는 모양새가 이럴까? 과연 자신은 진심을 이것이 좋은 것이라고 믿고 있는 것일까? 얼마나 보니지 않는 많은 돈이 오고가고..
살아가는 이야기/사회참여 혜송(慧松) 2011. 5. 19. 06:37
아침에 둘러본 기사중에 삼성 '갤럭시 S2' 실핼 오류몸살(파이낸셜 뉴스)이란 제목의 기사가 눈에 띄였다. 이 기사의 제목을 보자마자 든 생각은 불쾌감이다. 물론 내가 전적으로 삼성을 옹호하는 입장은 아니다. 삼성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기업으로써 국내에서 처신을 잘 못하고 있다는 것은 충분히 인정을 한다. 하지만, 지금 핸드폰 업계는 애플 아이폰과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이다. 그렇다고 애국심에 호소해서 국내물건을 사줘야 한다라는 논점도 아니다. 다만, 애플 아이폰이 처음 출시 되었을때 발견되었던 수많은 버그들에 대해서 이렇게 심도(?)있게 기사를 쓴적이 있었나? 그리고 그 애플 아이폰4가 다시 출시 되었을 때 전화기가 안되던 문제에 대해서는 어떠한 입장을 보였었은가 말이다. 그중 하나는 기억을 할 것이..
살아가는 이야기/사회참여 혜송(慧松) 2011. 5. 18. 16:13
(위의 그림을 누르면 한나라당 대선 공약집을 받을 수 있는 곳으로 이동을 한다) "MB, 모호한 발언 수습에 1조7천억 예산 추가[미디어오늘]" 란 제목의 기사를 읽어보다가 이런 말을 읽었다. 이명박 대통령의 지난 2월 1일 가 논란의 발단이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당시 사회자가 충청권에 과학벨트를 조성하겠다는 내용의 과학벨트 대선공약에 대해 묻자 "거기에 얽매이는 것은 아니고 공약집에 있었던 것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 바람에 할일이 좀 밀려서 바쁜데 기사 한번 잘 못보고 이글까지 끄적이게 된다. 우선 먼저 과연 한나당과 가카가 제안했다고 말하는 공약집이 궁금해서 구글링을 해보다가 바로 한나라당 홈피에 들어갔다. 나 같으면 X팔려서라도 슬쩍 내렸을텐데, 버졌하게 홈피의 한부분에 자란스럽게 올라와있다...
살아가는 이야기/사회참여 혜송(慧松) 2011. 5. 3. 22:08
[원문보기 : Free the Korean Rat] 시간이 촉박해서 잠시 둘러만 보고 왔다. 글쎄.. 일종의 그라피티를 예술의 영역을 보고 있는 사이트인것 같다. 전문가의 손길이 느껴지는 웹이라기보다는 투박하고 거칠다. 런던에 있는 J.R. 이라는 이니셜을 가진 한국인 유학생이 이곳에 메일을 보냈고, 그 메일을 참조해서 확인한 결과 사실이였다는 이야기가 중간에 적혀있다. 문제가 된 이미지와 메일의 내용, 그리고 당시 한국의 기사가 실려있는 페이지이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이귀남 법무부 장관에게 메일 또는 이메일로 그라피티는 일종의 예술이라고 발송하자는 이야기가 나와있다. 모두 동참해 달라고 한다. 이런 이야기가 인터넷이 나돌때 정말 국격이란 것을 생각하게 된다. 내가 있는 곳이 외국이다보니, 이곳에서 한국..
살아가는 이야기/사회참여 혜송(慧松) 2011. 5. 3. 09:56
[오사마 빈 라덴: 위키백과 : 오사마_빈라덴] [기사보기 : 한겨례 : 오바마 “미국이 추구하면 뭐든 할수 있다는걸 확인”] 빈라덴이 죽었다는 기사를 어제 처음 접하고는 많은 상념에 빠져 결국 이렇게 몇자 적어본다. 처음 생각나는 것은 빈라덴이 9.11 테러의 원흉이라고 미국이 지목했다는 점이였다. 그 당시, 내가 읽기로, 미국이 아프카니스탄에서 소련에 대한하던 빈라덴을 데리고 와서 전투에 관한 교육을 시킨 후 보내주었는데, 결국은 미국을 향해서 총부리응 겨누웠다... 라는 식의 기사가 떠올랐다. 그러면서 미국이 9.11에 대해서 비극적인 면만 너무 강조하면서 제대로 밝힌것은 없다는 기사들. 여러 학자들과, 기자들, 지식인들 사이에서 눈덩이처럼 펴져나가던 많은 음모론들. 뭐.. 결국 물증은 없으나 심증..
살아가는 이야기/사회참여 혜송(慧松) 2011. 4. 6. 16:54
난 강풀이라는 작가가 마음에 든다. 비슷한 연배이기도 하지만, 깨어있는 정신이 마음에 든다. 우리곁에 이렇게 한명한명 깨어있는 사람이 늘수록 우리나라는 더욱더 좋아지리라 믿는다. 한자루 한자루의 촛불이 모여서 어둠을 몰아내었듯이..